풍경화의 표현방법
원근감(거리감)의 표현 - 보는 사람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대상의 멀고 가까움에 따라 나타나는 공간감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가까운 곳의 경치는 근경, 중간 정도의 경치는 중경, 가장 먼곳의 경치는 원경이라고 한다.
동양의 원근법 - 동양화의 산수화 표현에서 거리감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원근법은 삼원법이다.
*고원법 - 산을 올려다 본 상태에서 그린 것으로, 주로 세로선이 많이 쓰이고, 원근과 함께 자연의 위압감이나 웅대한 느낌을 준다.
*평원법 - 눈높이를 화면의 중앙에 두고 자연스럽게 앞을 바라다보았을 때 그린 것으로, 끝없이 펼쳐지는 자연의 광활함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심원법 - 눈높이를 화면의 위쪽에 두고 아리를 내려다보는 상태에서 그린 것으로, 멀리 겹겹이 쌓인 느낌을 주며 자연의 무한한 깊이를 나타낼 때 주로 쓰인다.
서양의 원근법
1. 공기 원근법(색채 원근법)
광선의 변화에 의해 같은 색깔의 물체라 하더라도 가까이에서 볼 때와 멀리서 볼 때의 느낌이 다르다. 같은 대상이라도 원근에 따라 명도차, 색상차, 윤곽의 선명도 등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와 같은 색채의 변화를 앞에 있는 부분은 선명하고 강하게, 멀리 있는 부분일수록 흐리게 채색함으로써 원근을 나타낸다.
2. 투시도법
*투시도 - 2차원적인 평면에 물체를 3차원적으로 그리기 위한 기계적인 방법으로, 그려진 물체가 안쪽으로 후퇴해 가는 듯한 착각, 즉 화면에 깊이와 넓이가 느껴지게 그리는 방법이다.
*소실점 - 가까이 있는 물체는 크게, 멀리 있는 물체는 작게 보인다. 이러한 물체에 연장선을 그어 보면 그 선은 지평선에 가까워지고 어느 한 점에 모이게 된다. 1점, 2점, 3점 투시 등이 있다
* 눈높이 - 눈높이는 수평선(지평선)의 높이와 가타으며 소실점도 눈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풍경화 제작의 특징
같은 풍경이라도 보는 위치, 거리, 시간, 계절등에 따라 느낌이 다르므로 화면 구성이 짜임새 있도록 근경, 중경, 원경을 살려 그린다.
보이는 풍경을 모두 그리지 않고 옮기거나 생략해도 화면 속의 풍경은 의미를 갖게 된다. 그러나 풍경은 인물이나 정물처럼 의도적으로 옮겨 놓고 그릴 수는 없다.
각 계절에 따른 특징을 살려서 그린다. 같은 풍경이라도 광선에 따라 다르게 느껴진다.
풍경화의 화면 구성
화면의 상하, 좌우가 2등분되지 않도록 한다. 근경, 중경, 원경에 의한 거리감을 나타낸다. 풍경의 아름다움을 이루어 주는 요소들끼리의 조형적 질서를 찾아 표현한다. 수평선의 높이 설정도 중요하다.
1.구도의 정의
* 구도 - 형과 색 등의 배치 계획으로 화면의 효과적인 짜임새를 말한다.
*구도의 3요소 - 균형, 변화, 통일
2. 구도의 종류
*정적인 구도
수평선 구도 - 고요, 평화, 넓음, 안정감
수직선 구도 - 길이, 성장, 엄숙, 상승감
대각선 구도 - 통일, 집중, 원근감
삼각형 구도 - 안정, 통일, 균형
마름모 구도 - 통일, 안정감
원형 구도 - 만족, 원만함
*동적인 구도
사선구도 - 속도, 방향, 불안정
호선구도 - 거리감, 커다란 움직임
역삼각형 구도 - 불안정, 깊어가는 느낌
전광형(s자형 구도) 불안정, 상승감, 원근감
그림 감상의 예
1. 이 작품의 작가는 누구인가요?
2. 작품의 제목은 어떻게 될까요?
3. 작품의 크기는 어떻게 될까요?
4. 어느 나라, 어느 시대의 작품일까요?
5. 작품에서 무엇을 볼 수 있나요?
6. 작품에서 사용한 재료는 무엇인가요?
7. 작품의 주요색은 무엇인가요?
8. 작품 속의 대상들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9. 크기, 모양, 색, 운동감, 통일감, 변화 등의 특징은 어떠한가요?
10. 시각적인 특징들이 서로 어떠한 영향을 주며 관련되어 있나요?
11. 작품을 통해 작가가 나타내려고 한 것은 무엇일까요?
12. 작품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어떠한가요?
13. 작품 제작의 시대적 배경과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14. 작품이 전해주는 의미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15. 어떤 기준을 가지고 이 작품을 평가할까요?
16. 이 작품을 훌륭하다고 생각하나요?
17. 훌륭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독서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시인 102인 대표시 모음 (0) | 2008.03.31 |
---|---|
방짜의 과학/한옥에 숨은 과학 (0) | 2006.12.08 |
희곡이란 (0) | 2005.12.07 |
꿀벌의 일년 (0) | 2005.10.04 |